본문 바로가기

필립스 곡선: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의 상관관계

Economy house 2024. 7. 16.
반응형

필립스 곡선

 

필립스 곡선은 경제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간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이 글에서는 필립스 곡선의 정의, 역사적 배경, 이론적 의미, 그리고 현대 경제학에서의 적용과 비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필립스 곡선이란?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은 뉴질랜드 출신의 경제학자 A.W. 필립스가 1958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처음 소개된 개념입니다. 이 곡선은 실업률과 임금 상승률(또는 인플레이션율) 간의 역상관관계를 나타냅니다. 필립스는 영국의 1861년부터 1957년까지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업률이 낮을 때 임금 상승률이 높고, 실업률이 높을 때 임금 상승률이 낮다는 결론을 도출했습니다.

공식으로 표현하면

π=πe−β(u−un)+ϵ

 

여기서:

  • π: 실제 인플레이션율
  • πe: 기대 인플레이션율
  • u: 실제 실업률
  • un: 자연 실업률
  • β: 상수(민감도)
  • ϵ: 외생 변수

필립스 곡선의 역사적 배경

필립스 곡선은 1960년대에 경제 정책의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었습니다. 당시 경제학자들은 낮은 실업률을 유지하기 위해 약간의 인플레이션을 감수하는 것이 경제에 유익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이 시기에 필립스 곡선은 거시경제 정책의 근거로 사용되었으며, 정책 결정자들은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사이의 상충관계를 관리하려고 했습니다.

필립스 곡선의 이론적 의미

필립스 곡선은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간의 트레이드오프(trade-off)를 보여줍니다. 즉, 정부가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 경기부양책을 시행하면 인플레이션이 상승할 수 있으며, 반대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긴축정책을 시행하면 실업률이 상승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필립스 곡선의 현대적 적용과 비판

적용

현대 경제학에서는 필립스 곡선을 장기와 단기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단기 필립스 곡선은 여전히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지만, 장기 필립스 곡선은 자연 실업률에서 수직선 형태를 취합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실업률이 자연 실업률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인플레이션율이 실업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판

1970년대 오일 쇼크 이후 필립스 곡선은 심각한 도전에 직면했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라는 새로운 경제 현상이 나타났는데, 이는 높은 실업률과 높은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발생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는 필립스 곡선의 전통적인 이론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로, 경제학자들은 이에 대한 새로운 설명이 필요했습니다.

밀턴 프리드먼과 에드먼드 펠프스는 기대인플레이션이 필립스 곡선의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하며, 기대 인플레이션이 실제 인플레이션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실업률이 자연 실업률로 수렴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예상 인플레이션이 정책에 대한 효과를 무력화시키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결론

필립스 곡선은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간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비록 1970년대 이후의 경제 현상들로 인해 전통적인 필립스 곡선의 적용에 한계가 드러났지만, 현대 경제학에서는 기대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수정된 필립스 곡선을 통해 여전히 중요한 분석 도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경제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 필립스 곡선은 여전히 유용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며,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간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2024.07.10 - [분류 전체보기] - 실업률: 경제의 건강을 측정하는 핵심 지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