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애인 보청기 급여제도, 지원 절차부터 금액까지

Economy house 2025. 8. 18.
반응형

청력 저하로 보청기 구입을 고민 중이라면, 장애인 보청기 급여제도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2025년 기준, 이 제도는 청각장애 등록자를 대상으로 보청기 구입비를 지원하며, 절차와 금액 조건이 명확히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원 절차부터 금액, 신청 팁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장애인 보청기 급여제도, 지원 절차부터 금액까지
장애인 보청기 급여제도, 지원 절차부터 금액까지

반응형

1. 장애인 보청기 급여제도란?

보청기 급여제도는 청각장애인들이 보청기를 보다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이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보장구 급여 항목 중 하나로,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보청기 구입 비용을 보조받을 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 청각장애 등록자
  • 지원 금액: 최대 140만 원 (2025년 기준)
  • 지원 주기: 3년에 한 번

2. 지원 금액과 범위

2025년 현재, 보청기 급여제도의 지원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본 지원금: 최대 131만 원
  • 검수비: 9만 원
  • 총 지원 한도: 최대 140만 원
  • 3년마다 1회 지원 가능

단, 반드시 건강보험공단에서 인정하는 인증 제품이어야 하며, 해외 직구 제품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3. 지원 절차

  1. 이비인후과에서 청력검사 및 진단서 발급
  2. 시·군·구청에서 청각장애 등록 신청
  3. 건강보험공단에 보청기 구입 전 급여 신청
  4. 승인 후 보청기 구매 및 영수증 제출
  5. 검수 후 지원금 지급

4. 신청 시 유의사항

  • 보청기 구입 전 반드시 급여 신청을 먼저 진행해야 함
  • 의사의 처방전과 검수 확인서가 필수
  • 지자체별 추가 지원금 여부 확인 시 더 큰 혜택 가능
  • 보장구 급여는 동일 품목 재구매 시 3년이 지나야 가능

5. 2025년 변경 사항

  • 지원 주기 단축: 기존 5년 → 3년
  • 지원 금액 상향: 최대 140만 원
  • 경도·중등도 난청 환자도 일부 조건 충족 시 지원 가능

시사점

보청기 급여제도는 청각장애인의 생활 품질을 높이는 중요한 복지 정책입니다. 절차를 정확히 이해하고 신청한다면, 보청기 구입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습니다. 특히 2025년부터 지원 금액이 상향되고 주기가 단축된 만큼, 청력 저하를 느낀다면 서둘러 신청 준비를 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