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000만원 이상 직장인 연말정산 전략

Economy house 2025. 8. 8.
반응형

2025년부터 총급여 7000만원 이상인 직장인은 연말정산에서 세금 환급이 줄어들거나, 오히려 세금 납부로 전환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합니다. 정부는 근로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있으며, 그 타깃은 중산층 이상 고소득 근로자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제 한도 축소 시대에 살아남을 수 있는 7000만원 이상 직장인을 위한 연말정산 절세 전략을 소개합니다.

7000만원 이상 직장인 연말정산 전략
7000만원 이상 직장인 연말정산 전략

반응형

1. 근로소득공제 축소, 세부담의 시작

  • 총급여 7000만원 초과 시 근로소득공제율 하향 적용
  • 공제한도 일괄 축소 → 과세표준 증가 → 세액 증가
  • 연말정산 환급이 줄어들고, 추가 납부 사례 증가

2. 소득공제보다 세액공제를 중심으로

  • 세액공제는 세금을 직접 줄이는 방식, 절세효과가 더 큼
  • 대표 항목: 연금저축, IRP, 기부금, 의료비, 교육비
  • 신용카드 소득공제는 축소 예정 → 세액공제 중심으로 지출 조정

3. 연금저축 + IRP로 세액공제 극대화

  • 연간 합산 한도: 700만원 (연금저축 400 + IRP 300)
  • 공제율: 총급여 5500만원 초과 시 13.2% 세액공제
  • 700만원 납입 시 최대 92,400원 환급

→ 환급률 높은 정액 납입 스케줄 설정이 유리

4. 고액기부 + 의료비 지출 전략적 활용

  • 기부금: 2000만원 초과분은 35% 세액공제
  • 고액기부자는 연말 일시기부보다 분할기부로 이월공제 활용
  • 의료비는 가족 단위 합산 가능 → 지출 시기 조절로 공제 극대화

5. 종합소득과세 기준 초과 유의

  • 총급여 7000만원 이상 + 기타소득 발생 시 종합소득세 신고 의무 발생 가능
  • 예: 유튜브 수익, 배당, 임대소득, 인세 등은 별도 신고 필요
  • 사전 소득 파악과 세무사 상담 권장

시사점

총급여 7000만원 이상 직장인은 더 이상 '13월의 월급'을 당연히 기대할 수 없습니다.

공제 항목을 정확히 파악하고, 고효율 세액공제 수단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환급을 지키는 핵심 전략

입니다. 특히 연금저축·IRP, 고액기부, 의료비, 교육비 항목은 전략적으로 접근하면 실질 절세 효과가 크며, 지금부터라도 계획적인 지출과 납입 스케줄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